운전 중 차량에서 들리는 이상한 하체 소음, 그냥 넘기면 안 됩니다. ‘웅웅웅’ 소리, ‘달그락’, ‘찌그덕’ 등 다양한 소리들은 모두
자동차가 정비가 필요하다는 신호
일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네이버 블로그, 자동차 카페 등에서 실제 정비사와 오너 드라이버들이 경험한 하체 소음 증상별 고장 부위를 소리와 조건에 따라 분석하고, 어떤 상황에서 주의해야 할지 상세히 설명드립니다.
1. 주행 중 웅웅웅~ 소음 – 허브 베어링 문제
시속 30km 이상부터 휠 쪽에서 ‘웅웅웅’ 혹은 ‘우우웅’ 하는
저주파 회전성 소음
이 난다면, 허브 베어링(Hub Bearing) 고장을 의심해야 합니다.
허브 베어링은 타이어와 차축 사이의 회전을 매끄럽게 해주는 핵심 부품입니다. 내부에 윤활 그리스가 마르거나, 금속 베어링이 마모되면 회전 시 마찰이 증가하면서 속도에 따라 점점 커지는 소음이 발생합니다.
소음 자체는 작게 시작되지만, 타이어에서 울리는 듯한 공명음으로 착각하게 만들 수 있고 이로 인해 잘못된 진단으로 타이어만 교체하고 끝나는 경우도 실제 빈번합니다. 하지만 문제는 베어링에 있는 것이므로, 정비소에서 타이어 공기압이나 편마모 여부 외에
휠 허브 손상이나 베어링 유격까지 함께 진단
받는 것이 안전합니다.
2. 방지턱 넘을 때 달그락달그락 – 활대 링크
저속으로 방지턱을 넘을 때마다 '달그락' 또는 '덜그럭' 소리가 난다면 스태빌라이저 링크(활대 링크)의 유격 또는 부싱 마모를 의심해야 합니다.
이 부품은 좌우 서스펜션을 연결해 차체의 좌우 흔들림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며 주로 고무 부싱과 금속 연결부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고무가 닳거나 링크 볼이 유격을 갖게 되면
금속이 부딪히는 '달그락' 소리
가 발생하게 됩니다.
3. 요철 넘을 때 찌그덕 – 스태빌라이저 바 부싱
'찌그덕~ 찌그덕~' 하는 마찰음이 들릴 경우, 스태빌라이저 바를 고정하는 중앙 부싱 부위의 고무가 경화되었을 가능성이 큽니다.
특히 비 오는 날이나 주차 직후, 요철을 넘을 때 소리가 더 심하게 들릴 수 있으며 이 부위에 실리콘 그리스를 도포하면 일시적으로 소음이 줄어들기도 합니다. 하지만
고무가 갈라졌거나 경화된 상태라면 교체가 필요
합니다.
4. 핸들 돌릴 때 끼익·뚝뚝 – 마운트 베어링
정지 상태에서 핸들을 돌릴 때 쇼바 상단에서 ‘끼익’ 또는 ‘뚝뚝’ 소리가 들린다면 쇼버 마운트 베어링 또는 스프링 시트 손상을 의심해야 합니다.
이 부위는 조향 시 회전력을 흡수하고 서스펜션 상단 충격을 완화하는 역할을 하며, 베어링이 마모되거나 부식되면 조향 시 마찰음 또는 회전 저항감이 느껴집니다. 특히 오래된 국산차나 주행거리 많은 차량에서 빈번히 발생합니다.
5. 이 외 자주 언급되는 하체 소음 원인 4가지 (정비사 기준)
① 로워암 부싱 마모
로워암은 휠과 프레임을 연결하는 부품이며, 고무 부싱이 닳으면 주행 시 '찌그덕' '우두둑' 소리가 발생하고 차체 흔들림이 커지며 코너링 불안정, 타이어 편마모가 유발됩니다.
② 볼조인트 유격
볼조인트는 하체의 상하 운동과 조향을 가능하게 하는 구형 조인트입니다. 이 부위에 유격이 생기면 핸들을 돌리거나 요철을 지날 때 ‘뚝뚝’ ‘두둑’ 하는
뚜렷한 금속성 소리
가 발생합니다. 심한 경우 조향이 먹먹해지고 핸들이 흔들릴 수 있어 위험합니다.
③ 쇼바 유압 누유
쇽업쇼버 내부 오일이 누유되면 댐핑력이 약해져 노면 충격이 제대로 흡수되지 않으며, 고속 주행 시 ‘덜컹’, ‘탕탕’ 같은 소리와 함께 불쾌한 진동이 올라옵니다. 쇼바 외관에 기름자국이 있다면 바로 점검이 필요합니다.
④ 코일스프링 파손
스프링이 부러지거나 끝단이 갈라지면 차량 한쪽이 낮아지고 요철 지날 때 ‘철컥철컥’, ‘스프링 튕기는 소리’가 들립니다. 특히 겨울철 추운 날씨에 스프링 파손 확률이 높아집니다.
결론 – 소리를 듣는 순간, 정비를 고민해야 할 때
차에서 나는 이상 소리는 절대 우연히 발생하지 않습니다. 그 소리를 무시하면 향후 수십만 원대 정비비용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정비소 방문 전에는 스마트폰으로 소음을 녹음해두면 보다 정확한 진단에 도움이 되며, 특히 반복되는 소리는 차량이 보내는 고장의 언어라 인식해야 합니다.
하체 소음은 단순한 스트레스가 아닌,
운전자의 생명과 직결된 문제
일 수 있습니다. 가벼운 소리도 무시하지 말고, 정확한 진단과 예방 정비를 통해 보다 안전한 운행을 이어가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