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자동차 하체소음 진단 가이드 – 스테빌라이저부터 로워암까지 소리별 해결법

by 만나서 반가워 2025. 7. 14.

운전 중 방지턱이나 요철을 지날 때 들리는 찌걱찌걱, 삐걱삐걱 소리는 단순한 불편을 넘어 하체 부품의 마모, 유격, 고장을 알리는 중요한 신호일 수 있습니다.

하체 소음은 다양한 부위에서 발생하며, 정비소에서도 정확한 원인을 찾기 위해 리프트 점검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증상과 소리를 통해 유추할 수 있는 고장 부위가 어느 정도 정해져 있기 때문에,

소리의 패턴과 조건을 이해하는 것만으로도

큰 도움이 됩니다.

 

자동차 하체소음 스테빌라이저바

 

1. 스테빌라이저 부싱 마모 – 찌걱찌걱 소리의 주범

스테빌라이저(안정성 바)는 차체의 롤링을 줄이기 위해 좌우 서스펜션을 연결하는 부품입니다. 이 부품을 고정하고 있는 고무 부싱이 마모되면, 방지턱이나 굴곡진 도로에서

찌걱찌걱 또는 끼익끼익

하는 마찰음이 들릴 수 있습니다.

소리 특징: 저속에서 방지턱 넘을 때 반복적인 찌걱거림 정비방법: 부싱 교체만으로도 해결 가능, 부품 가격 저렴 (약 2~4만원대)

2. 스테빌라이저 링크 유격 – 달그락, 덜그럭 충격음

스테빌라이저를 서스펜션 암과 연결하는 부품이 스테빌라이저 링크입니다. 이 링크의 조인트 부위가 마모되면

달그락, 덜그럭

하는 금속음이 들리며, 특히 연석이나 요철을 비스듬히 넘을 때 잘 느껴집니다.

소리 특징: 요철 넘을 때 좌우로 흔들리며 달그락거리는 소리 정비방법: 링크 전체 교체 (한 쌍 기준 약 6~10만 원)

3. 로워암·어퍼암 부싱 불량 – 운전 중 묵직한 하체충격 소음

서스펜션 암(로워암, 어퍼암)은 차량의 움직임을 지지하고 타이어를 안정적으로 고정해주는 중요한 부품입니다. 이 부품에 사용되는 고무 부싱이 손상되면 유격이 생기고, 주행 중 방향전환이나 요철 통과 시 묵직한 충격음 또는 금속 간 마찰음이 납니다.

소리 특징: 좌우 움직일 때 덜컹 또는 둔탁한 소리 정비방법: 부싱 교체 또는 암 전체 교체, 일부 차량은 암과 부싱 일체형

4. 쇽업쇼버 및 마운트 베어링 소음 – 삐걱삐걱, 꺾을 때 나는 잡음

쇽업쇼버(쇼바)는 차량의 충격을 흡수하는 핵심 부품이며, 그 상단을 잡아주는 마운트 베어링이 마모되면 핸들 조작 시 삐걱거리는 소리가 납니다.

또한 쇽업쇼버 자체 내부에 가스누유나 실린더 마모가 있으면

저속 충격 시 미세한 쇠 마찰음

이 동반되기도 합니다.

소리 특징: 핸들 돌릴 때 삐걱, 요철 통과 시 쇠가 긁히는 소리 정비방법: 마운트 베어링 교체 또는 쇽업쇼버 어셈블리 교체

5. 엔진 마운트·미션 마운트 손상 – 정차 시 떨림, 출발 시 '쿵' 소리

엔진과 변속기를 차체에 고정시키는 고무 마운트는 충격과 진동을 흡수합니다. 이 마운트가 손상되면 진동이 실내로 바로 전달되고, 출발 시 쿵 또는 퉁 하는 소리가 동반됩니다.

특히 오래된 차량에서 하체소음과 함께 RPM 진동, 실내 떨림이 동반된다면 엔진 마운트 이상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소리 특징: 출발 시 한 번의 쿵, 저속 브레이크 시 앞뒤 흔들림 정비방법: 마운트 교체 (엔진 1~2개, 미션 포함 시 총 3개 교체)

결론 – 하체소음은 차량의 이상 신호, 방치하면 정비비 증가

하체에서 나는 다양한 소리는 단순한 소리가 아니라 부품 손상이나 유격의 직접적 신호입니다. 특히 방지턱이나 요철에서만 나타나는 소리는 서스펜션 계열 부품과 마운트 계열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정비소에서는 리프트 점검을 통해 빠르게 문제 부위를 찾을 수 있으며,

소리의 종류와 조건

을 메모해 두면 정비사가 훨씬 정확히 진단할 수 있습니다.

소음을 방치하면 다른 부위까지 연쇄 손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상이 느껴진다면 빠른 점검을 권장합니다.